본문 바로가기
Git

GitHub 3편 - GitHub 가입과 저장소 만들기

by Oz Driver 2025. 5. 12.

GitHub 에서 코드를 관리하려면 우선 계정을 만들어야 합니다.


https://github.com 에 접속합니다.

 

GitHub · Build and ship software on a single, collaborative platform

Join the world's most widely adopted, AI-powered developer platform where millions of developers, businesses, and the largest open source community build software that advances humanity.

github.com

 

간단한 이메일과 비밀번호만으로 가입할 수 있으며, 무료 요금제로도 충분히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입을 마치고 로그인하면,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저장소(Repository) 를 만들 수 있습니다.
GitHub의 저장소는 폴더 하나를 프로젝트 단위로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공간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저장소 생성하기

로그인 후, 처음이라면 Create repository 를 선택합니다.

 

저장소를 만들기 위해 입력해야 하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Repository name : 저장소 이름 (주의할 사항은 공백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 Description (optional) : 프로젝트 설명

Public / Private : 저장소를 공개할지, 비공개로 할지 선택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

    • README.md : 프로젝트 소개를 작성하는 파일

 

    • .gitignore : Git이 무시할 파일 목록 ( 유니티라면 Unity, C# 이라면 Visual Studio 를 선택 )

 

     License : 오픈소스 라이선스 선택 (필수 아님)

 

저장소 만들기 완료

모든 설정을 마치고 “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하면 저장소가 생성됩니다.

여기까지는 저장소만 만든것이고 아직 내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는 아닙니다. 
이제 이 저장소에 코드를 올리거나, 내 컴퓨터에 연결해 Git 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큇 셋업

만약, Add a README file 이나 Add .gitignore 을 만들지 않고 저장소를 생성하면 Git 저장소가 아직 초기화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Quick setup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초기화 하는 방법은 총 3가지가 있는데 우리는 Github Desktop 을 이용할 것이므로 Set up in Desktop 을 선택합니다. (위에서 README file 이나 .gitignore 중 하나라도 선택해서 입력을 하셨다면 아래의 화면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러면 Desktop 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는데 여기서 다운받아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저장소 지우기

처음에는 임시로 저장소를 만들었다고 가정하고 이번에는 저장소를 삭제해보겠습니다.

Setting > Danger Zone 에 가서 Delete this repository 를 선택합니다.

 

저장소 삭제는 복구가 안되기 때문에 정말 삭제할 것인지 여러번 묻는 과정이 있습니다.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GitHub에 처음 가입한 뒤, 웹에서 저장소를 만드는 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 저장소를 내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해 GitHub Desktop을 설치하고, 로컬 저장소로 만드는 방법을 다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