씬을 정리하다 보면, 눈에 보이지 않는 오브젝트들을 만들어야 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GameData, GameManager, SoundManager 같은 오브젝트들이 그런 예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오브젝트들은 보통 빈 GameObject를 하나 만들고 그 위에 스크립트만 추가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씬에는 존재하지만 Scene 창에서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기 때문에 나중에 찾기 어렵고 존재감도 약하게 느껴집니다.
아이콘을 추가해 빈 오브젝트를 씬에 표시해보세요
이럴 때 아이콘(icon)을 설정해주면 매우 유용합니다.
Unity 에서는 오브젝트에 아이콘을 지정하면 씬(Scene) 창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됩니다.
빈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 Inspector 창 상단(오브젝트 이름 왼쪽)에 있는 작은 아이콘 버튼을 클릭해 보세요.
버튼을 클릭하면 다양한 아이콘 리스트가 나타납니다.
원하는 색상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됩니다. (예: 파란 구슬, 빨간 구슬 등)
그 오브젝트를 씬 한쪽 구석으로 옮겨두면, 작업할 때 훨씬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아이콘 크기와 색상은 이렇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Scene 창 오른쪽 상단에 있는 Gizmos 버튼을 클릭하면 아이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더가 표시됩니다.
아이콘이 너무 크면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으니, 슬라이더를 왼쪽으로 조정해서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단, 슬라이더를 완전히 왼쪽으로 밀어버리면 아이콘이 전혀 보이지 않을 수 있으니 적당한 크기로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3D Icon 옵션의 의미, 헷갈릴 수 있습니다
Gizmos 메뉴에는 "3D Icons"라는 체크박스가 있습니다.
처음 보면 이 옵션을 끄면 아이콘이 사라지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은 3D 거리감 기반 크기 조절을 비활성화한다는 의미입니다.
• 3D Icons ON → 카메라 거리나 줌 상태에 따라 아이콘 크기가 달라지며, 슬라이더로 조정 가능합니다.
• 3D Icons OFF → 카메라 위치와 무관하게 고정된 크기의 2D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크기 조정은 불가능합니다.
• 따라서 이 옵션을 꺼도 아이콘은 계속 보이지만, 크기 조절이 되지 않기 때문에오히려 잘 보이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아이콘을 설정했는데도 안 보인다면?
이 부분이 함정일 수 있습니다.
처음 아이콘을 설정해도 씬 뷰에서 아무리 찾아봐도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는 Gizmos 메뉴에서 3D Icons 의 크기 슬라이더가 너무 작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로 아이콘은 정상적으로 설정되어 있었지만, 슬라이더가 최소값(0)에 가까울 정도로 줄어들어 있었기 때문에
아이콘이 너무 작아서 눈에 보이지 않았던 것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Gizmos 버튼을 클릭하고 슬라이더를 오른쪽으로 조금만 올려주면, 아이콘이 다시 잘 보이게 됩니다.
3D Icons를 사용 중일 때는 슬라이더 크기 설정이 곧 ‘보임/안보임’ 을 결정짓는 요소라는 점을 기억해두면 도움이 됩니다.
마무리
빈 오브젝트는 프로젝트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씬 창에서는 그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작업 중에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아이콘을 활용하면 오브젝트의 존재감을 눈에 띄게 만들 수 있고, 전체적인 씬 정리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한 번 설정해두면 꽤 편리하고, 습관처럼 계속 쓰게 되는 기능이니 이번 기회에 한 번 적용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티에서 FBX 파일 가져왔는데 텍스처가 안 보일 때 (0) | 2025.05.10 |
---|---|
코루틴의 한계 : 일시 정지가 불가능한 구조 (0) | 2025.04.27 |
Unity에서 Enum을 Dictionary로 연결하여 Hierarchy 자식 관리하기 (0) | 2025.04.27 |
Hierarchy 구조를 이용해 스크립트에서 제어하기 (0) | 2025.04.21 |
유니티에서 SerializeField 란 무엇인가요? (0) | 2025.04.20 |